생활 속 부동산 상담소

청약통장: 내 집 마련의 현실적 전략과 성공 사례

생활 속 상담소 2024. 7. 17. 14:06
반응형

지난 5월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2554만3804명에 달합니다. 이 중 약 70%가 1순위 자격을 갖추고 있는데, 이는 청약 가입 기간 2년에 예치금을 납입한 경우 등에 해당됩니다. 1순위 자격을 갖추지 못하면 2순위 청약 물량을 노려야 하지만 인기 많은 아파트 단지의 경우 1순위 청약에서 분양 경쟁이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이 시대에 청약통장으로 내 집 마련이 정말 가능한 일일까요? 청약통장의 메커니즘과 이를 통해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청약통장의 메커니즘

청약이란 정부가 희소한 재화인 주택을 공평하고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분양 방법의 조건과 기준을 정해 놓은 것입니다. 청약을 신청하기 위해선 청약통장을 개설하고 특정 보유 기간과 입금 횟수를 충족해야 합니다. 청약통장에 쌓인 돈은 주택도시기금으로 적립돼 정부가 추진하는 각종 주택 도시 관련 사업에 활용됩니다. 청약통장은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으로 인식되지만, 현실적으로는 청약 당첨의 벽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청약 당첨의 현실

최근 수도권 주요 지역 청약 시장에서는 만점 통장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기 과천시 디에트르 퍼스티지와 성남시 산성역 헤리스톤에서는 만점 통장이 등장했습니다. 평당 5100여만 원으로 비강남권에서 최고 분양가를 자랑했던 마포자이힐스테이트라첼스에서도 당첨선은 70점대, 커트라인(59㎡ A타입)이 69점에 형성됐습니다. 적어도 60점 후반대는 돼야 당첨권에 들어갈 수 있으며, 분상제 지역의 경우 당첨 커트라인이 70점대로 형성됩니다.

청약 경쟁의 치열함

청약 경쟁이 치열한 이유는 주요 지역의 분양 물량 자체가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도시 주요 지역의 경우 신규 아파트는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될 수 있지만, 정비사업은 많은 이해관계자가 얽혀 추진이 쉽지 않습니다. 또한, 원자재 값과 인건비 상승으로 재건축과 재개발의 사업성이 더 떨어졌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분상제 적용 지역이나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가 통제가 있는 지역에서 청약 대기 수요가 몰리는 것입니다.

청약 제도의 역사와 변화

청약 제도는 1970년대 아파트 투기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당시 청약 자격 조건은 매우 제한적이었으나, 이후 다양한 정책적 필요에 따라 변화해 왔습니다. 현재 윤석열 정부에서는 청년·신혼부부, 출산 가구 등 2030세대에게 당첨 기회를 더 주기 위해 개편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공공분양에서 청년 특별공급을 신설하고, 가점제였던 일반공급에 추첨제를 도입하는 등의 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당첨 확률을 높이는 전략

청약가점이 낮다면 특별공급을 통해 당첨 확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생아·신혼부부·다자녀·노부모 유형 등 각 유형에 맞는 자격 요건을 갖추어야 청약이 가능합니다. 일반공급에서는 ‘1순위·당해 지역’ 거주자가 당첨 확률이 가장 높습니다. 투기과열지구와 청약과열지역에서는 청약통장 가입 기간이 2년이 지나야 1순위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청약의 미래와 시사점

청약 당첨이 로또처럼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청약통장은 여전히 내 집 마련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됩니다. 정부의 정책 변화와 시장 상황을 잘 파악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청약통장을 통해 내 집 마련을 하는 것은 여전히 가능하지만, 매우 치열한 경쟁을 동반합니다. 청약 제도의 역사와 변화, 당첨 확률을 높이는 전략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