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 부동산 상담소

부동산 시장 반등의 조짐과 주요 원인 분석

생활 속 상담소 2024. 7. 17. 04:50
반응형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반등 조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상승 추세에 접어들었고, 지방도 회복이 시간문제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번 반등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는 근거로 공급부족, 고금리 적응, 분양가와 전셋값 상승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원인들을 분석하고 부동산 시장의 향후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공급부족 문제

인허가와 착공 실적 감소

부동산 시장이 상승 사이클에 진입한 첫 번째 이유는 공급부족입니다. 공사비 상승으로 인해 사업성이 약화되면서 인허가와 착공 실적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국토연구원의 '주택공급 상황분석과 안정적 주택공급 전략'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주택공급 실적은 인허가는 연평균 대비 74.2%, 착공은 47.3%에 불과했습니다. 특히 서울의 경우 인허가 실적이 32.0%에 그쳤습니다.

공공부문 공급 문제

공공부문에서도 주택 공급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3기 신도시 입주 일정이 차질을 빚고 있으며, 사전청약을 받은 공공분양 단지 중 본청약이 진행되지 않은 곳이 많습니다. 이에 따라 향후 주택 공급 부족이 예상되며, 이는 집값 상승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고금리 적응

금리에 대한 적응력 상승

장기간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수요자들이 상당 부분 적응했다는 점도 시장 회복의 요인입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이 7%대를 넘어서면서 시장에 충격을 줬지만, 이제는 금리에 익숙해졌습니다. 주담대 금리도 점차 안정화되고 있으며, 코픽스(COFIX)도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금리 적응력 상승은 매수심리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매매수급지수 상승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첫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0.4로 기준선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2021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기준선을 넘은 것이며, 지난 2월 둘째 주부터 21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에 집을 팔려는 사람보다 살려는 사람이 더 많다는 의미로, 매수심리가 살아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전셋값 상승

전셋값 상승과 매매수요 자극

전셋값 상승은 매맷값의 상승을 부추기는 주요 요인입니다. 전셋값이 오르면 차라리 집을 사겠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실수요를 자극하게 됩니다. 서울 전셋값은 60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인천과 성남 분당구 등 1기 신도시에서도 전셋값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셋값 상승은 매매수요로 전환되는 사례를 많이 목격할 수 있으며, 이는 집값 상승을 부추기게 됩니다.

분양가 상승

분양가 상승과 매수 심리

분양가 인상도 집값 상승을 부채질하는 요인입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6월 말 서울 아파트 ㎡당 평균 분양가는 전월 대비 8.28%, 전년 동월 대비 31.02% 상승했습니다. 이는 평당 4000만원을 넘는 금액으로, 분양가 상승은 매수 심리를 자극하여 청약을 기다리기보다 집을 사려는 수요를 증가시킵니다.

향후 전망

공급 부족 해결 필요

향후 부동산 시장의 안정을 위해서는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주택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업성을 높여주는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주택 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시장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과 완만한 상승 추세

금리 인하 기대감이 부동산 매수 수요를 자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급격한 집값 상승보다는 완만한 상승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스트레스 DSR 2단계 시행으로 가계대출이 관리되고 있어 금리 인하로 인한 급격한 집값 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전셋값 상승과 매매수요 증가

전셋값 상승이 지속되면서 매매수요로의 전환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셋값 상승은 매매수요를 자극하여 집값 상승을 부추기게 될 것입니다. 이에 따라 전셋값 안정화 방안도 함께 모색해야 합니다.

결론

부동산 시장의 반등 조짐은 공급부족, 고금리 적응, 전셋값 상승, 분양가 인상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주택 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부동산 시장의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